01 글로벌 클래스의 소싱능력입니다.
최고의 품질을 최저의 가격으로 소싱할 수 있는 인적,물적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동일한 제조사 동일품목조차 판매가가 제각각입니다. 저희는, 중국 각 지역의 공장네트워크와 국제무역의 노하우로 더 좋은 제품을 발굴하여 고객과 직거래를 성사시킵니다.
02 상품은 국내 최저가수준일것입니다.
고객님의 니즈를 충실히 반영하면서도, 가장 좋은 상품을 국내 최저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사전 협상등 소싱과, 물류,배송까지 무역전반을 정밀하게 준비하고 계산하여 보고 드립니다.
03 본사직영의 물류센터에서 꼼꼼히 검수를 합니다.
직영물류센터에서 꼼꼼히 검수를 하여 불량등 일체의 착오를 선적 전에 조치합니다.
04 각종 인증을 대행해드립니다.
kc인증, 식품인증, 전자파인증, 전기용품인증, 어린이제품인증등을 대행합니다.
HS 코드란?
HS 코드(Harmonized System Code)는 물품의 분류를 위해 세계관세기구(WCO)에서 제정한 표준 코드 체계입니다.
약 5,000여 개의 품목이 6자리 숫자로 구성된 코드로 분류되며, 각 자리는 특정한 의미를 갖습니다.
HS 코드의 구조
첫 두 자리: 장(Chapter)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01'은 '동물'을 의미합니다.
다음 두 자리: 류(Heading)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0101'은 '말'을 의미합니다.
마지막 두 자리: 소호(Subheading)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010121'은 '번식용 말'을 의미합니다.
HS 코드의 활용
관세율 적용: HS 코드를 통해 각 물품에 대해 정확한 관세율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무역 통계: 국가 간의 무역 통계를 일관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수출입 규제: 특정 물품에 대한 수출입 규제를 적용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HS 코드 확인 방법
관세청 웹사이트: HS 코드를 확인하려면 관세청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관세청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정보마당" 메뉴에서 "통계정보"를 클릭한 후 "관세율표"를 선택합니다.
검색 창에 찾고자 하는 물품의 이름을 입력하면 관련 HS 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조링크: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수입 관세는 국가의 관세법에 따라 수입 물품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이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다음 요소들이 필요합니다:
부가가치세는 일반 소비세로서 대부분의 상품과 서비스에 적용됩니다.
수입 물품의 경우, 부가가치세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일부 특정 물품에 대해서는 특별소비세, 주세, 교육세 등이 추가로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담배나 술, 사치품 등에 적용됩니다.
FOB, EXW, CIF 3가지는 물류 및 국제무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 입니다.
1. FOB(Free on Board) : 본선 인도조건
수출자가 지정된 선적항에서 화물을 선박에 선적한 후의 모든 위험과 비용을 수입자가 부담하는 조건입니다.
FOB 조건에서는 수출자가 지정된 선적항에서 다음과 같은 비용을 부담합니다.
- 상품의 매입 가격
- 상품의 포장 및 운송비
- 상품의 수출 신고 및 수출 세금
수입자는 다음과 같은 비용을 부담합니다.
- 선박의 운임
- 상품의 보험료
- 상품의 수입 신고 및 수입 세금
FOB 조건은 수출자가 물건을 선적하기까지의 모든 위험과 비용을 부담하고, 수입자는 선적 이후의 모든 위험과 비용을 부담하는
조건입니다. 따라서 수출자는 선적 이후의 손실이나 사고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FOB 조건은 일반적으로 중량이나 부피가 크고, 운송비가 상대적으로 비싼 상품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철강, 석유
등은 FOB 조건으로 거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CIF(Cost, Insurance and Freight) : 운임, 보험료 인도조건
수출자가 지정된 선적항에서 상품을 본선에 선적하고 운임을 지불하고 보험을 가입한 후의 위험과 비용을 수입자가 부담하는 조건입니다.
CIF 조건에서는 수출자가 지정된 선적항에서 다음과 같은 비용을 부담합니다.
- 상품의 매입 가격
- 상품의 포장 및 운송비
- 상품의 수출 신고 및 수출 세금
- 선박의 운임 상품의 보험료
수입자는 다음과 같은 비용을 부담합니다.
- 상품의 수입 신고 및 수입 세금
CIF 조건은 CFR 조건과 유사하지만, 수출자가 선적항에서 상품의 보험을 가입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CIF 조건은 수출자가 선적 이후의 손실이나 사고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CIF 조건 역시 FOB, CFR 조건처럼, 일반적으로 중량이나 부피가 크고, 운송비가 상대적으로 비싼 상품에 사용됩니다.
3. EXW(EX Works) : 작업장 인도조건
수출자가 지정된 장소에서 상품을 인도한 후의 위험과 비용을 수입자가 부담하는 조건입니다.
EXW 조건에서는 수출자가 지정된 장소에서 다음과 같은 비용을 부담합니다.
- 상품의 매입 가격
수입자는 다음과 같은 비용을 부담합니다.
- 상품의 운송비
- 상품의 보험료
- 상품의 수입 신고 및 수입 세금
EXW 조건은 수출자가 최소한의 비용만 부담하고, 수입자가 모든 위험과 비용을 부담하는 조건입니다. 따라서 EXW 조건은 수출자가 거래
위험을 최소화하고 싶은 경우 사용됩니다.
EXW 조건은 일반적으로 중량이나 부피가 작고, 운송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상품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의류, 전자제품, 가전제품 등은 EXW 조건으로 거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뢰는 모든 성공적인 비즈니스 관계의 기반입니다.
우리는 모든 거래와 커뮤니케이션에서 최고 수준의 투명성과 정직성을 유지함으로써,
고객, 파트너, 그리고 직원 간의 신뢰를 구축하고 강화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신념을 통해 장기적이고 상호 이익이 되는 관계를 발전시키고자 합니다.